배움마당

불교자료실

천태의 관심문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19-04-11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조회수 687

 

천태의 관심문은 

점차, 부정, 원돈 의 삼종지관 이다.

1) 점차지관은 석선바라밀차제법문 에 설해져 있고

2) 부정지관은 육묘법문에 

3) 원돈지관은 마하지관 에 설해져 있다

 

지의는 (538년~ 597년)

초기 설법인 석선바라밀차제법문 에서 불교의 모든 수행법을 처음으로 체계화 하였다.

점차지관= 얕은 곳에서 깊은 곳으로 나아가고,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나아가는 일체의 수행법

부정지관= 일정한 단계와 계위의 차례가 없이 수행자의 상황에 ?게 격식에 매이지 않고 닦는 

            지관법을 말한다

            육묘법문 에서는 초기불교의 호습수행인 수(數), 수(隨), 止(지), 觀(관), 還(환), 淨(정)의

            여섯가지 법문으로 불교의 모든 수행법을 거두어 순서대로 혹은 편의에 따르거나

            또는 원돈 등의 일정하지 않은 방법으로 행할수 있다고 설하였다.

원돈지관= 법화일승의 교리에 근거하여 불교의 일체 수행을 원돈의 실천법으로 회통하여 설하였다.

            대소승의 수행법을 지관문으로 원융하게 회통하여 3지, 3관 과 4종삼매로써

            보리 열반을 증득하는 실천체계를 제시한 것이다.

            그것은 혜사가 법화경안락행의 에서 설하였던 대승돈각 인 법화삼매의 정신에 근거하며, 지의? 법화삼매참의 를 거쳐서 그의 만년에 이르러 체계화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지의 의생애= 한마디로 법화경 연구로 요약할수 있다.

               법화경 이 이론적으로 가장 뛰어난 붓다의 가르침이라는 것을 논증하고, 

               나아가 이에 근거한 대승불교의 수행론을 완성하는 것을 일생의 과제로 삼았다.

               법화경 연구와 관련해서 스승혜사 와의 만남과 북주 무제의 폐불 사건은

               중요한 의리를 갖는다.

 


 

 

 

다음글다음글 법화경= 제1서품 에서
다음글이전글 법화경과 법화삼매